주식 투자자라면 경제지표 중 하나인 CPI를 들어보셨을 텐데요. 이 CPI 뜻을 정확하게 알고 계신가요?
미국 CPI 발표가 우리와 무슨 상관이 있는가?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알고 보면 국내 증시와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오늘은 전 세계의 증시와 경제에 이렇게 큰 영향을 미치는 미국 CPI 뜻과 발표는 언제 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CPI 뜻?
CPI는 Consumer Price Index의 줄임말로 우리말로 번역하면 소비자물가지수를 말합니다.
미국 노동부에서는 CPI를 1913년부터 조사하기 시작해서 2022년 지금까지 100년 넘게 기록된 정말 오래된 전통적인 지표 중 하나라고 볼 수 있습니다.
소비자물가지수를 쉽게 설명하자면 '전국 일반 소비자 가구에서 생활을 위해 구입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알아보는 통계 지표'로, 미국 소비자물가 지수 역시 미국의 장바구니ㆍ가정 경제 물가 등에 대한 실질적인 지표라고 정리할 수 있겠습니다. [1]
2. CPI 지수 발표 의미와 영향
위에서 말했듯이 미국 소비자물가지수가 우리나라와 무슨 상관? 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이유로 CPI의 추이를 대략적으로 파악해 둘 필요가 있습니다.
- 거시적 경제지표의 하나로 경기 판단 지표로 활용되는데, 진단된 경제 상태에 따라 각종 정책들이 수립되기 때문에 중요한 지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 화폐가치의 판단 지표로 사용 활용됩니다. 물가가 오르면 화폐의 가치가 떨어졌다고 판단할 수 있으므로 이 화폐의 가치를 통해 여러 가지 금전적인 제도나 정책의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 주가 변동에도 큰 영향을 줍니다. CPI 지수의 흐름으로 인플레이션 정도를 판단하는데 최근 발표된 지표로 인플레이션은 정점이 아니라는 인식이 커지며 주가 하락에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 금리 인상과 관련이 있습니다. 소비자물가지수가 오른다는 뜻은 물가가 오른다는 말로, 이는 인플레이션이 온다고 해석할 수 있는데, 미국에서는 오르는 물가를 잡기 위해 금리를 지속적으로 올리고 있습니다. 이렇게 금리가 인상될 경우 자산 시장이 경직되는 결과가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상승 여력보다는 하방 압력이 커질 확률이 높아지므로 투자자 입장에서는 좀 더 보수적으로 투자에 임할 필요가 있습니다.
※ 함께 참고하면 도움 되는 글
[RICH 경제 이야기] - 금리가 오르면 무슨일이 생길까요? 금리가 오르는 이유
[RICH 경제 이야기] - 인플레이션 뜻과 원인, 영향, 해결 방안, 헤지수단 4가지 완벽 정리
3. 미국 CPI 소비자물가지수 발표시간
미국은 매월 두번째 주 수요일 또는 목요일에 CPI 지수를 발표합니다. 날짜로는 매월 10~15일 중에 발표되는데, 시간은 우리나라 기준 밤 9시 30분에 주로 발표가 되고 있습니다.
CPI 지수는 인터넷 포털 사이트나 인베스팅닷컴(https://investing.com)에서도 쉽게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CPI 지수는 국내 주식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는 지표이기 때문에 주식 투자자라면 꼭 관심을 가지고 발표를 지켜보아야 합니다.
CPI 지수가 예상치보다 낮게 나오면 호재라고 볼 수 있지만, 높게 나올 경우에는 주식시장에 충격을 주기 때문입니다.
4. 더 알아보기
① Core CPI 지수란?
Core Consumer Price Index는 우리말로 근원 소비자물가지수입니다. 또 다른 말로 핵심 물가지수, 코어 물가지수라 부르기도 합니다.
이 지수는 물가 변동을 유발하는 여러 요인들 중 일시적인 공급충격 등의 영향을 제외하고 물가 상승률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즉, CPI를 구성하는 품목들 중 변동성이 큰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상품 및 서비스의 판매가 변동을 측정합니다. 최근 유가 급등이나 밀, 식용유 등 식품의 폭등 현상을 보면 왜 Core CPI를 따로 측정하는지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이렇게 근원물가지수는 물가에 미치는 일시적인 충격이나 불규칙한 요인들이 제외되기 때문에 추세적인 물가 상승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필수재인 휘발유나 식품 등의 가격이 제외되기 때문에 실제로 느끼는 물가와 괴리감이 있을 수 있습니다.
② PPI(생산자물가지수)란?
PPI는 Producer Price Index의 줄임말로 생산자 입장에서 측정한 물가인 생산자물가지수를 말합니다.
즉, 생산자가 상품과 서비스를 만드는 데 사용하는 평균 가격이라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 제품생산에 필요한 원자재의 가격이 오르게 되면 생산된 제품의 가격도 오르게 되는데, 이처럼 생산자물가가 상승하면 소비자물가 또한 같이 상승하게 되므로 이는 인플레이션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생산자물가지수는 상품 및 서비스의 수급 동향 파악과 경기 동향 판단지표로 활용됩니다.
오늘은 CPI 뜻과 CPI 지수가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발표시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주식투자를 하는 입장에서나 거시 경제 측면에서나 CPI는 매우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CPI는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에 영향을 주고, 이는 달러 강세로 이어져 우리나라에 투자된 자금이 빠져나가는 상황을 만들기 때문에 이런 지표들이 가지는 의미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 합니다.
물론 CPI 지수가 높게 발표되었다고 해서 무조건 주식시장이 하락하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정확한 CPI 뜻과 발표 의미와 영향에 대해 알고 있다면 보다 성공적인 투자를 할 수 있지 않을까요?
본 포스팅은 절대 투자 권유의 목적의 글이 아니며, 투자 책임은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우리모두 경제적 자유를 누리는 그날까지! 화이팅! :)
'RICH 경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권 사는 법 - 채권 투자 초딩도 할 수 있게 아주 쉽게 정리 (0) | 2023.02.16 |
---|---|
환율이 오르면 좋을까? 환율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 쉽게 요약 (0) | 2023.02.15 |
인플레이션 뜻과 원인, 영향, 해결 방안, 헤지수단 4가지 완벽 정리 (0) | 2023.02.10 |
FOMC 일정(2023년)과 FOMC (최신)기자회견 요약, 기준금리 인상 이유 등 완벽정리 (0) | 2023.02.02 |
금리가 오르면 무슨일이 생길까요? 금리가 오르는 이유 (0) | 2023.02.01 |